• 검색검색창 도움말
  •  
  • 경주마 제대로 알기

  •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카카오톡
  • 이전페이지
  • 목차
  • 다음페이지
  • Chapter 6. 능력 향상을 위한 분석 및 개선방안
  • 이동

h2mark 준비 운동 및 마무리 운동

가. 조교 전의 준비운동 시간

준비 운동 없이 심한 운동을 하게 되면 심폐 기능, 근육 및 관절 등이 경직된 상태에서 갑자기 격한 움직임으로 바뀌므로 그 기능이 원활치 못하게 되고 심한 경우 부상을 입게 된다.

<표 4-11>과 같이 60%에 가까운 응답자가 준비운동을 10분~20분 정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38% 정도가 20분~30분 정도 하고, 일부 조에서는 10분 이내에 끝내기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3) 외에 “4)기타”에 대한 응답은 없었다.

경주마 조교 전의 준비운동 시간

1) 상금수득 상하위조 비교

<표 4-11-1>을 보면 상금 상위 그룹은 대체적으로 하위 그룹보다 준비운동 시간이 긴 것으로 추정해 볼 수 있다. 준비운동을 20분 보다 많이 시행하는 조는 하위그룹에서는 찾아 볼 수 없었고 조사에 참여한 모든 하위 그룹의 조가 10분~20분 이내에 준비운동을 마친다.

그러나 하위 그룹이라도 10분 이내에 준비운동을 마치는 조는 없었다. 이는 준비운동 시간이 좋은 경주마 만들기와는 크게 상관이 없는 것으로 해석되기 보다는, 단순히 전체적으로 10분 이내로 준비운동을 하는 경우가 극히 적은 결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표 4-11-2>의 교차분석 결과 상하위 그릅과 운동시간은 서로 독립적이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경주마 상금수득 상하위조 비교

나. 조교 후의 마무리 운동시간

마무리 운동은 대체로 준비 운동 보다 소홀히 할 수도 있지만 경주마의 피로 상태가 금방 눈에 띄므로 관심을 더 갖게 되고 소요시간도 다소 길어질 수 있다.

또한 경주마의 입장에서 보면 심하게 땀을 흘리고 가쁜 호흡이 제대로 가라앉지 않은 상태에서 마방에 가두어 지면 그 스트레스는 이루 말할 수 없을 것이며, 다음 날 조교에서도 그 기억이 살아남아 운동에 대한 거부 반응도 나타날 수 있고 악벽의 원인이 될 수도 있다.

<표 4-12>에서 보면 준비운동과 달리 10~20분 및 20분~30분 간 마무리 운동을 하는 경우가 동일한 빈도로 나타났다. 그런데 40분 이상 시행하는 조도 있어 준비운동 때보다 다양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설문항목 중 4)기타는 40분과 50~60분이 각 1건 있었다.

경주마 조교 후의 마무리 운동시간

1) 상금수득 상하위조 비교

상금 상하위 그룹 간에 비교를 하기 위하여 <표 4-12-1>을 보면 상위그룹에서는 준비 운동에서처럼 마무리 운동에도 많은 시간을 할애하고 있다. 그러나 상위그룹에서도 40% 정도가 마무리 운동에 10분~20분 정도 만 시간을 할애하고 있으므로 전체적으로는 하위그룹과의 차이를 분명하게 말하기가 어렵다.

이에 대하여는 향후 더 많은 관측치를 갖고 연구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마무리 운동시간에서도 운동시간과 상하위조는 준비운동에서와 달리 서로 독립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표 4-12-2>.

경주마 상금수득 상하위조 비교

다. 준비 및 마무리 운동 방식 만족 여부

준비 및 마무리 운동에 대한 만족도 조사에서 기대치보다 많은 55% 정도가 불만족을 표시하였다. 그 사유를 나타낸 항목들의 평균치가 <표 4-13>과 같이 서로 유사하고, 표준편차가 커서 어떤 뚜렷한 사유를 도출 해내기가 어렵다.

이는 준비 및 마무리 운동에 대한 개선의 필요성은 절실하지만 그 사유가 전반적이어서 개선하기가 매우 까다롭다는 의미로 추정해 볼 수 있다. 1)~3)외에 “4)기타사유”로 운동장이 복잡하다는 것이 1건 있었다.

경주마 준비 및 마무리 운동 방식 불만 사유
  • 이전페이지
  • 목차
  •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