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검색창 도움말
  •  
  • 경주마 제대로 알기

  •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카카오톡
  • 이전페이지
  • 목차
  • 다음페이지
  • Chapter 1. 서론
  • 이동

h2mark 역자서문

나는 어릴 때부터 아버지가 말을 키우는 모습을 보고 자랐다. 아버지의 말에 대한 애정, 그리고 아버지의 뒤를 이어 묵묵히 가업을 이어가는 남동생의 모습 속에서 나 또한 말과 함께 해왔다. 논문에 대해 고민하던 어느 날, 동생은 지인이 몇 년째 일본어를 몰라 그림만 보고 있다는 말에 대한 책을 한권 소개해 주었다.

번역하면 자료가 부족한 생산농가들에게 도움이 될 것 같다는 말에 짧은 실력이지만 주저 없이 번역에 착수하였다. 1984년 한국마사회가 직영하는 종마목장이 개설되고, 1990년대에 들어와서는 그때까지 수입에 의존하고 있던 경주마를 국내에서 본격적인 생산을 시작하기 위해 1991년 경주마 자급 확대 중장기 계획이 세워졌다.

이 계획에 따라 1992년 37곳의 경주마 생산 농가가 선정되었다. 현재 한국마사회가 선정한 143농가 중 116농가가 제주 지역 농가이다. 그런데 제주에서는 오랫동안 제주마를 길러온 농가가 주축이 되어 경주마를 기르기 시작했기 때문에 체계적으로 말을 보는 법을 배운 농가는 드물다.

많은 농가가 좋은 말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말을 제대로 보아야 한다고 강조하지만, 학술적인 내용이 많아 농가에게 도움이 되는 자료는 많지 않다.

이 책은 말을 보는 법에 대해 저자가 오랫동안 길러온 자신의 안목과 과학적인 이론을 바탕으로 다양한 그림과 사진을 제시하여 설명하고 있기 때문에 농가와 마주들이 좋은 말을 가려내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참고로 본문에 나오는 말의 각 부분을 지칭하는 명칭 등의 전문용어는 수의학적인 전문용어 보다는 생산 농가, 마주, 조교사, 경마 방송에서 일반적으로 쓰고 있는 용어와 한국마사회의 경마 용어 순화어를 참고하여 번역하였다.

그리고 농가와 경마관계자들을 대상으로 한 번역이므로 전문용어에는 주석을 달지 않고, 일본의 경주마와 일본 경마 경주이름에만 주석을 달았다. 경주마에 대한 주석은 경주마를 평가하는 기준이 되는 통산성적을 위주로 하였고, 경마 경주 이름은 일본어를 음역하였다.

오랜 시간 이 논문을 완성할 수 있도록 정성과 심혈을 기울여 지도해 주신 반노신지 교수님께 깊은 감사를 드린다. 짧지 않은 시간 동안 격려해 주고 기다려준 남편 김승대와 사랑하는 민서, 동규, 연서, 많은 도움을 주신 시댁과 친정가족들께 깊은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

그리고 바쁜 와중에도 아낌없는 조언을 해 준 광림, 광협 두 동생과 이은순 언니, 흔쾌히 자료를 내어주신 대한목장 정병철님 께도 진심으로 감사드린다. 끝으로 평생을 말과 함께 살아오신 아버지 이용대님 께 이 논문을 바친다.

  • 이전페이지
  • 목차
  • 다음페이지